Transformer [Remastered] 이미지 확대 보기
  • Transformer [Remastered]

Transformer [Remastered] LP

공유
가격
32,200 / US $22.36
구매혜택
할인 : 적립금 :
배송비
3,000원 / 주문시결제(선결제) 조건별배송 지역별추가배송비
택배
방문 수령지 : 서울특별시 마포구 와우산로18길 20 2층 메타복스
County of Pressing
EU
Pressing Year
2017
Serial Number
889853490318 .
Label
Sony BMG / RCA
Condition
NEW

미개봉된 신품 음반입니다. CD의 경우 개봉되지 않은 상태이며 LP의 경우도 미개봉 혹은 발매시부터 포장되지 않을 수도 있으나 한 번도 플레이되지 않은 신품 상태입니다.

Genre
pop & rock > rock
pop & rock > rock > classical rock
Transformer [Remastered]
0
총 상품금액
총 할인금액
총 합계금액

Detail Info

REMASTERED . 

Description

'Velvet Underground'의 황태자 !! `루 리드`의 불멸의 명반 [Transformer] Vinyl 버전 입고. 

 

루 리드의 솔로 데뷔 앨범으로 최고의 명곡인 'Perfect Day'를 비롯하여 'Walk On the Wild Side'등이 수록되어 있다. ***리마스터 음원 사용*** 언더그라운드의 정신적 지주 Lou Reed 벨벳 언더그라운드에서 솔로이스트로의 진정한 출발지점 [Transformer] intro 루 리드(Lou Reed)가 30년 전에 발표한 앨범이 2002년 다시 찾아온다. 그러나 이것이 처음은 아니다. 

 

그의 두 번째 솔로 앨범인 [Transformer]는 1997년 9월에 이미 라이센스로 발매된 적이 있다. 이 시점은 1997년 2월과 9월, 화제를 불러일으켰던 두 영화 'Trainspotting' 그리고 '접속'과 긴밀한 연관성을 지닌다. 

이미 30년 넘게 오랫동안 음악 활동을 해온 그였지만 아직은 생소했던 루 리드라는 이름은, 구제불능의 영국 젊은이들을 담아낸 영화 'Trainspotting'에 삽입된 "Perfect Day"를 통해 국내 팬들에게 알려졌다. 그리고 가을에 영화 '접속'이 대대적인 흥행을 기록하면서 벨벳 언더그라운드(The Velvet Underground) 시절의 곡인 "Pale Blue Eyes"를 통해 다시 한번 그는 우리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비록 이기 팝(Iggy Pop)의 "Lust For Life"('Trainspotting')와 사라 본(Sarah Vaughan)의 "A Lover's Concerto"('접속')가 더욱 스포트라이트를 받았지만 이를 계기로 벨벳 언더그라운드와 루 리드에 대한 재평가가 국내에서도 시작됐다는 점은 기억할 만하다. 이미 5년 전의 일이지만 그 임팩트의 여운은 아직 가시지 않은 듯하다. 

 

1972년 발매됐던 루 리드의 두 번째 솔로작이자 그의 성공적인 솔로 커리어의 시작을 알린 앨범인 [Transformer]의 발매 30주년을 맞아 국내에서도 이 앨범이 재발매 되는 것은, 요즘 같은 음반 시장의 불경기 속에서 더욱 눈에 띄는 일이다. "Hangin' 'Round"와 "Perfect Day", 두 곡의 미발표 버전이 수록된 동시, 디지털 리마스터링된 'expanded edtion'으로 단장됐다는 점에서 이 앨범은 적잖은 만족감을 전하지 않을까 싶다. 게다가 팬 서비스 차원에서 재미 있는 히든 트랙도 더해졌다니 더욱 솔깃할 만하다. 

 

'딜럭스판'이라 해도 무방할 정도로 2002년 재발매작은 보다 풍성해진 라이너 노트를 담고 있으며, 데이빗 보위(David Bowie), 이기 팝과 스투지스(Iggy Pop과 Stooges), 쟈니 윈터(Johnny Winter), 퀸(Queen)의 앨범에 참여한 유명 사진가 믹 록(Mick Rock)이 찍은 희귀 사진들도 수록됐다. Lou Reed & The Velvet Underground 비틀스(The Beatles)가 대중음악 전반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친 전대미문의 밴드라면 루 리드는 데이빗 보위와 함께 대중음악계의 전위적인 인물로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그는 언더그라운드의 정신적 지주로서 기억되며, 그 중심에는 벨벳 언더그라운드가 자리한다. "벨벳 언더그라운드의 앨범을 사는 사람은 거의 없었지만 그들의 앨범을 산 사람들은 모두 밴드를 결성했다"는 브라이언 이노(Brian Eno)의 말은 이 뉴욕 밴드의 영향력을 단적으로 입증하는 것으로, 그만큼 루 리드의 음악적 커리어에서도 단연 가장 주요하게 다루어진다. 

 

실제 벨벳 언더그라운드는 80년대 컬리지 문화가 태동하던 시기의 R.E.M과 소닉 유스(Sonic Youth), 패티 스미스(Patti Smith), 지저스 메리 앤 체인(Jesus & Mary Chain), 스미스(The Smiths) 등에게 영향을 미쳤고, 그것은 90년대와 2000년대의 많은 인디/모던 록 밴드들에게서도 여전히 유효하다. 전위적인 록 음악의 리더이자 퇴폐적인 가사를 특유의 예술적 감수성으로 표현하는 동시 실험적인 태도를 지녔던 벨벳 언더그라운드는 활동 당시 비평 쪽에서도 그리 호평을 얻지 못했고 그렇다고 대중적인 성공을 거두지도 못했다. 루 리드는 물론 존 케일(John Cale)이란, 거물급 뮤지션이 된 두 사람이 함께 했던 밴드로 지금은 기억될 수 있지만, 당시 벨벳 언더그라운드가 발표한 앨범은 단 한 장도 차트 100위 내에 진입한 적이 없다. 벨벳 언더그라운드는 당시 '플라워 운동', 히피 문화로 규정될 수 있는 당시 주류 록 음악에서도 비껴나 있었고, 뉴욕에서 인기를 얻고 있었던 배리 매닐로우(Barry Manillow), 베트 미들러(Bette Middler)와 같은 어덜트 컨템포러리와는 무관했다. 

 

이들은 그야말로 언더그라운드의 영역에 속해 있었고 전위 예술 집단으로 출발한 밴드였다. 루 리드(를 비롯한 벨벳 언더그라운드 역시)를 얘기한 데에는 6,70년대 뉴욕을 이야기하지 않을 수 없다. 데이빗 번(David Byrne, Talking Heads)이 "뉴욕에 가본 사람이라면 루 리드를 이상한 사람으로 몰아 세우지 못한다"고 말했을 정도로 6,70년대 뉴욕은 많은 예술가들이 운집한 도시였으며, 전위 예술과 비트 문화의 출발지였다. 비트 시인이었던 루 리드와 아방가르드 클래식 앙상블의 비올라 연주자였던 존 케일, 그리고 당시 뉴욕 언더그라운드의 대표적인 예술가라 할 수 있는 팝 아트 운동의 주도자 앤디 워홀(Andy Warhol)의 만남은 벨벳 언더그라운드를 기억하는 핵심 코드인 셈이다. 

 

벨벳 언더그라운드는 이러한 문화적 바탕 위에서 1967년, 비틀스의 [Sgt. Pepper's Lonely Heart Club Band]에 비견되는, 록 역사상 가히 획기적인 앨범이라 할 만한 [The Velvet Underground & Nico]를 시작으로 60년대의 짧은 시기동안 마약과 도착적인 변태 성욕, 죽음 등에 관해 노래하며 사이키델릭과 개러지 록에 심취해 있던 당시 음악계를 놀라게 하는 동시 외면을 받아야 했다. 

이는 루 리드의 개인적인 성향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그는 히피의 낭만적인 문화와 무관한 동시 이를 비판했다. 

 

히피들의 이상을 실현하는 매개라 할 수 있는 약물과 섹스의 어둡고 음습한 측면을 부각 시킨 벨벳 언더그라운드의 음악은 단연 논란의 대상이 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또 하나 눈 여겨 볼 것은 폭력적이고 잔인한 가사에도 불구하고 벨벳 언더그라운드의 가사는 지극히 서정적이었다는 점이다. 벨벳 언더그라운드의 음악은 루 리드와 존 케일의 서로 다른 음악적 성향이 조율 되어 독특한 형태로 완성됐다 할 수 있다. 그러나 존 케일은 루 리드의 카리스마에 밴드 내에서 다소 위축돼 있었고, 루 리드 역시 그와의 음악적 차이를 포용하지 못했다. 결국 루 리드는 두 번째 앨범 [White Light/White Heat] 이후 그를 해고했다. 

 

존 케일이 빠진 [The Velvet Underground]는 이전보다 불협화음이나 노이즈는 상당 부분 사라졌지만 가사의 내용에는 변함이 없었다. 벨벳 언더그라운드는 여전히 비대중적인 밴드였다. 결국 루 리드는 네 번째 앨범 [Loaded]를 발표하고 밴드를 해체했다. 

이후 벨벳 언더그라운드의 멤버들이 함께 했던 것은 90년대 접어들어서이다. 존 케일과의 화해에 성공한 루 리드는 예전 멤버들과 함께 모여 해체 20여 년 전의 벨벳 언더그라운드의 이름으로 공연을 갖고 이를 라이브 앨범으로 발표했다. 

그러나 이는 옛 멤버들을 결속 시키기에는 역부족인, 하나의 이벤트로 종결됐다. MTV 언플러그드 공연이 계획돼 있었지만 성사 시키지 못한 채 결국 멤버들은 각자의 길로 돌아갔다. 이후 1995년 벨벳 언더그라운드의 오리지널 멤버인 스털링 모리슨(Sterling Morrison)이 세상을 떠났을 때 그를 추모하기 위해 다시 한번 함께 했었을 뿐, 벨벳 언더그라운드의 멤버들이 함께 하는 모습은 이후 볼 수 없었다. Lou Reed와 David Bowie & Transformer [Transformer]는 MNE가 선정한 'The Greatest Albums of All Time' 리스트 중 55위를 차지했으며, 1987년에는 음악관련 방송인과 록 평론가들이 뽑은 'The 100 Rock Albums of All Time' 리스트에 선정됐다. 명예로운 기록 이외에도 이 앨범은 루 리드에게는 가장 높은 판매고를 기록한 앨범이다. 

 

그와 동시에 루 리드는 이 앨범은 자신의 최고작으로 꼽기도 했다. 결과적으로 이 앨범은 벨벳 언더그라운드라는 뉴욕 언더그라운드의 컬트적 영웅인 루 리드를 대중적인 스타로 옮겨놓은 앨범으로, 이를 계기로 음악계에서 입지를 굳힌 루 리드는 이후 'Prince Of Dark'로 대접(?) 받기 시작했다. 그는 벨벳 언더그라운드의 해체 이후 박봉의 타이피스트로 몇 년간 생활하며 뉴욕을 떠나 런던에서 생활하고 있었다. 60년대 말 무명 시절을 보내고 있을 때부터 이미 루 리드의 열렬한 팬이었던 데이빗 보위는 루 리드와 만나 그를 지원하기로 했고 그로부터 [Transformer]가 탄생하게 됐다. 벨벳 언더그라운드의 퇴폐적 이미지와 섹슈얼의 모호함은 데이빗 보위의 음악에 분명 주요한 충격을 주었는데, 그는 자신을 벨벳 언더그라운드의 록큰롤 데카당스의 결과물이라 말하곤 했다. 데이빗 보위가 'Wagon Wheel'를 작곡하여 루 리드에게 헌사했다는, 적잖이 신빙성 있는 후문은 두 사람의 관계를 잘 설명해준다. 데이빗 보위는 자신의 변함없는 사이드맨 믹 론슨(Mick Ronson)과 함께 루 리드의 두 번째 앨범에 적극적으로 개입한다. 

당시 데이빗 보위가 글램 록 씬에 발을 담그고 있었다는 점은 이 앨범이 그와 연장선상에 놓여 있을 것임을 충분히 짐작케 한다. 데이빗 보위와의 작업을 통해 [Transformer]를 발표함으로써 루 리드는 실험적인 프로토 펑크 밴드 벨벳 언더그라운드에서 그로테스크한 화장과 옷차림 등, 양성애적인 모습을 한 글램 록커로 변신하게 된다. 

 

앨범 타이틀 그대로 데이빗 보위는 루 리드에게 있어 일종의 'transformer'였던 셈이다. 모든 곡을 공동 프로듀스한 데이빗 보위와 믹 론슨은 [Transformer]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지니고 있다 할 수 있는데, 70년대 글램 록 씬의 키워드라 해도 무방할 두 사람이 참여했음에도 이 앨범은 당시 글램 록 씬의 허세가 느껴지는 사운드와는 사뭇 다른 방향으로 완성됐다. 이 앨범은 다분히 정돈되고 차분한 록큰롤 앨범으로 완성됐다. 루 리드는 벨벳 언더그라운드의 실험적이며 기이하고 괴벽스럽기까지 했던 사운드로부터 안정적인 사운드로 귀착할 수 있었다. 그것은 이후 발표하는 앨범들에 비해서도 다분히 상업적으로도 기민한 감각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했다. 이는 "Hangin' 'Round"에서도 단적으로 드러난다고 할 수 있는데, 이 30주년 기념판에 수록된 이 곡의 어쿠스틱 데모 버전(1971년 녹음)은 다분히 컨트리와 포크적인 분위기를 담고 있지만, 데이빗 보위와 믹 론슨의 손에 의해 재탄생한 이 곡은, 당시 'Electric Warrior'로 글램 록 씬 스타로 떠오른 마크 볼란(Marc Bolan)풍의 기타 톤을 충분히 느낄 수 있다. "Vicious"는 이 앨범의 백미이자 벨벳 언더그라운드와 루 리드의 솔로 시절을 통틀어 최고의 곡으로 꼽힌다. 이 곡은 앤디 워홀(Andy Warhol)로부터 영감을 받아 만든 곡인데, 앤디 워홀은 루 리드에게 "Vicious"라는 제목의 노래를 만들라고 권유했다. 이에 루 리드는 '잔인함'에 대해 물었고 앤디 워홀은 "네가 꽃 한 송이로 나를 때리는 거지"라고 답했다고 한다. 이는 곡의 가사로 그대로 쓰여지고 있다. 

그러나 일반 대중들에게 이 앨범에서 역시 가장 주목 받는 곡은 "Perfect Day"다. 'Trainspotting'의 인상적인 장면 중 하나에 삽입되면서 인기를 얻게 된 곡으로 기억되는 이 곡은 1997년 때마침 영국 BBC의 주도로 세계 어린이 자선기금 마련을 위한 싱글로 발매되면서 보노(Bono), 톰 존스(Tom Jones), 엘튼 존(Elton John), 브렛 앤더슨(Brett Anderson), 보이존(Boyzone), 수잔 베가(Suzanne Vega) 등 30여 명이 참여한 컨트리뷰션 송으로 루 리드의 위상을 더욱 공고화 한 곡이기도 하다. 당시 이 한 곡의 뮤직 비디오를 통해 이들을 한번에 볼 수 있다는 놀라움은 결코 적지 않은 충격을 선사하기도 했다. "Walk on the Wild Side"는 벨벳 언더그라운드 시절을 통틀어 루 리드의 첫 번째 상업적 히트작이다. 이 곡에서 색소폰의 솔로는 로니 로스(Ronnie Ross)가 연주했는데, 재미있는 사실은 그는 데이빗 보위가 십대 시절 처음 색소폰을 배운 선생님이란 것. "Satellite of Love"는 영화 'Velvet Goldmine'에 삽입돼 주목을 받았다. 

 

outro 루 리드는 이 앨범 이후 1974년의 앨범 [Sally Can't Dance]가 앨범 차트 10위까지 오르며 가장 큰 성공을 거뒀다. 그는 솔로 뮤지션으로서 총 23장에 이르는 솔로 앨범을 발표했지만 두 번째 앨범 [Transformer]와 [Sally Can't Dance]를 제외하면 사실상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둔 적이 없다. 그나마 80년대에는 [Transformer]의 이미지를 재현한 [The Blue Mask]가 어느 정도 대중의 지지를 얻어냈을 뿐이다. 무게 실린 그의 이름에도 불구하고 그의 Top 10 히트곡은 16위까지 올랐던 에 불과하다는 것은 놀랍다. 그러나 상업적인 성공과 무관하게 루 리드는 지속적으로 대담한 음악적인 변신을 거듭해 왔다. 그 대표적인 앨범이 [Metal Machine Music]이라 할 수 있는데 이 앨범에서 루 리드는 기타 노이즈의 실험을 통해 록 역사에 있어 또 하나의 문제작을 만들어냈다. 그리고 80년대에 접어들어서는 뉴 웨이브 시대에 적응하는 동시에 이를 전위적인 실험과 결합 시켜 나갔다. 

 

그는 2000년 시대상을 반영하는 동시 그 특유의 냉소적 모습을 담은 [Ecstasy]를 발표했지만 이 앨범은 노장 혹은 거장의 새 앨범으로 주목 받았을 뿐 여전히 대중들과는 깊은 인연을 지니지 못했다. 대중과는 여전히 소원한 관계이지만 루 리드와 그의 밴드 벨벳 그라운드가 없었다면 지금 우리가 사랑하는 많은 밴드들이 출현할 수 있었을까 하는 의구심이 들 정도로 그의 존재는 특별하다. 이제 오래된 그의 앨범들이 모던 록 팬들의 감상 목록에 올라 있는 것은 유별난 일이 아니다. 

 

[Transformer]가 발매 30주년을 빌미(?)로 재발매 되는 것 역시 그러하다. 이 앨범은 데카당스의 제왕이란 칭호에 걸맞게 여전히 특유의 가학적인 서정성을 담고 있지만 음악적으로는 아이러니컬하게도 루 리드로부터 부정할 수 없는 영향을 받은 데이빗 보위의 영향력을 짙게 느낄 수 있다. 결국 두 사람의 시너지 효과가 극대화된 앨범이라 할 수 있으며, 이 앨범은 록 역사에서 가장 전위적인 두 아티스트의 면면을 동시에 확인할 수 있는 앨범이다. 만약 이들이 글램 록의 시대가 아닌, 그 이전이나 혹은 이후 만났다면 [Transformer]는 또 다른 모습을 띠고 있을지도 모를 일이다. 

Track List

[ SIDE 1 ]01. Vicious
02. Andy's Chest
03. Perfect Day
04. Hangin' 'round
05. Walk On The Wild Side

[ SIDE 2 ]01. Make Up
02. Satellite Of Love
03. Wagon Wheel
04. New York Telephone Conversation
05. I'm So Free
06. Goodnight Ladies

Shopping Guide

배송안내

 

- 배송비 : 기본배송료는 3,000원 입니다. (도서,산간,오지 일부지역은 배송비가 추가될 수 있습니다)  50,000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입니다. 

- 본 상품의 평균 배송일은 1~3일입니다. (입금 확인 후) 예약상품의 경우 제작사의 사정에 따라 다소 늦어질 수 있습니다 [배송예정일은 주문시점(주문순서)에 따른 유동성이 발생하므로 평균 배송일과는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본 상품의 배송 가능일은 예약상품을 제외하고는 당일 출고가 가능합니다.

배송 가능일이란 본 상품을 주문 하신 고객님들께 상품 배송이 가능한 기간을 의미합니다. 

(단, 연휴 및 공휴일은 기간 계산시 제외하며 현금 주문일 경우 입금일 기준 입니다.)

 

미입금과 주문 취소건에 대한 안내

  

음악을 사랑하시는 많은 고객분들의 성원에 오랜 시간을 꿋꿋이 버텨오고 있는 것에 다시 한번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최근 온라인 주문 후 미입금 및 주문취소 사례가 폭증함에 따라 업무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주문량만큼 음반을 확보해야 하는 탓에 그만큼의 재고를 고스란히 떠안는 사태가 계속 발생하고 있습니다.  

 

조금 더 신중한 주문을 부탁드립니다. 

무통장 주문 건의 경우, 주문 후 다음날 오전 11시까지 입금을 부탁드리며 미입금 시 주문 건은 자동으로 취소됨을 알려드립니다.   

첫 주문 이후 연속으로 3회 이상의 미입금 및 주문 취소 건이 발생할 시, 그리고 최근 10회 이상의 주문 건 중 미입금 및 취소 건이 70%를 넘는 경우 부득이하게 사이트 이용이 불가능하게 될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꼭 필요한 음악 애호가들에게 구입 기회가 갈 수 있고 메타복스의 정상적인 업무를 위해 결정한 불가피한 조치이니 이해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교환 및 반품안내

- 상품 택(tag) 제거 또는 개봉으로 상품 가치 훼손 시에는 상품 수령 후 7일 이내라도 교환 및 반품이 불가능합니다.

- 고객 변심에 의한 교환 반품은 고객께서 왕복 배송비를 부담하셔야 합니다. (제품의 하자나 배송 오류 시에는 자사 부담입니다.)

교환 반품은 신품의 경우, 포장을 뜯지 않으셔야 하며 상품에 구김이나 손상이 없는 경우에만 가능합니다.

- 교환 및 반품 신청은 1:1 게시판이나 02)3142-2735로 전화 부탁드립니다.

 

<LP 상품 구입 시 반드시 아래의 내용을 확인해주세요.>

※ 재킷 상태 

1) 명백한 재생 불량 외에 배송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경미한 재킷 구김, 모서리 눌림, 갈라짐 등은 반품/교환 대상이 아님을 양해 부탁드립니다.
자사에서도 최대한 깨끗한 상태의 재킷으로 발송할 수 있도록 검수에 더욱 신경 쓰겠습니다.

2) 디스크를 담고있는 내부의 속지는 배송 과정에서 디스크와의 접촉으로 인해 간혹 일부가 갈라지는 일이 발생되기도 합니다. 이는 반품/교환 대상이 아닙니다.

※ 재생 불량

1) 턴테이블 톤암에 무게 조절 및 세밀한 조정 기능이 없는 일부 올인원/일체형/보급형 턴테이블 모델에서 다이나믹 사운드의 편차가 급격하게 커지는 음악을 재생 시 튐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디스크 불량이 아닌 톤암의 무게가 가볍거나 세팅의 문제에서 발생하는 현상이 대부분 입니다. 재확인 후 튐 현상이 없을 경우 반품, 교환이 어려우니 다른 환경의 턴테이블에서도 확인 부탁드리겠습니다. CD플레이어와는 다르게 턴테이블은 반드시 수평을 정확하게 잡아주어야 합니다. 카트리지의 무게값도 적정 침압값을 반드시 확인해주세요. 대부분 잘못된 셋팅에서 튐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 디스크 이상

1) LP의 경우, 디스크 표면이 미세하게 휘어져서 재생 시 카트리지가 살짝 울렁거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가열된 플라스틱 재료로 제작되는 LP가 가진 태생적인 한계이므로 유저의 이해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재생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반품이나 교환이 가능합니다. 미세한 변형으로 재생에 무리가 없는 경우, 반품은 불가능하니 양해 바랍니다.
드물게 작은 7 인치 싱글 디스크의 재생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휴대용 턴테이블을 구입하신 유저들이 계십니다. 이러한 턴테이블은 디스크를 올려놓는 플래터가 너무 작은 이유로 12인치 크기의 음반을 올려놓았을 때 디스크의 가장자리가 살짝 처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심한 경우 튐 현상도 발생하므로 12인치 디스크는 반드시 12인치용 플래터가 장착된 턴테이블에서 재생해 주세요.

2) 턴테이블의 브랜드와 모델에 따라 스핀들의 지름 규격이 미세하게 달라서 스핀들에 디스크가 들어가지 않는 경우가 가끔 있습니다. 이 경우, 볼펜이나 핀, 혹은 시중에서 판매중인 LP Center Hole Reamer (일명: LP 리머)를 구멍에 삽입한 후 아주 가볍게 돌려주시면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참고하세요.

 ※ 컬러 디스크 

1) 컬러 디스크는 웹 이미지와 실제 색상이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2) 컬러 디스크의 특성상 제작 공정시 앨범마다 색상 차이가 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3) 컬러 디스크는 제작 과정에서 염료에 의한 작은 점이나 다른 색상의 염료가 섞여 들어갈 수 있습니다.

※ 앨범의 발매 국가 표기에 따른 반품 불가 안내. 

상품 등록 시 앨범에 표기된 국가나 바코드에 따라 발매 국가를 표기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상품에 국가 표기가 안되어 있거나 바코드만으로는 발매 국가를 구분하기 어려운 경우가 드물게 있는 편입니다.

음반의 상세정보를 세세하게 기재하려 최선을 다하고 있으나 발매 국가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없을 시에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대부분 정확하게 판단을 하고 있으나 간혹 쉽게 판독이 되지 않는 상품들이 있습니다.
그 경우 드물게 오류가 생기는 일이 발생합니다. 대부분 EU와 USA 제작 상품에 해당됩니다.

EU를 USA로 잘못 기입하는 경우 또는 USA를 EU로 기입하는 경우가 간혹 있습니다. 
앨범 커버에 국가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기재되어 있지 않아서 생기는 일입니다.
최근 생산되는 음반들이 국가간에 OEM으로 제작하는 경우가 많아서 이러한 일이 발생하는 것 같습니다.

이러한 사유는 발매 국가에 오류가 있다 하더라도 반품 사유는 안되는 점 안내드립니다.
양해 부탁드립니다.

환불안내

- 상품 청약철회 가능기간은 상품 수령일로 부터 7일 이내 입니다.

- 주문 취소는 1:1 게시판이나 02)3142-2735로 전화 부탁드립니다.

AS안내

- 소비자분쟁해결 기준(공정거래위원회 고시)에 따라 피해를 보상받을 수 있습니다.

- A/S는 판매자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바로 구매하기 OPEN CLOSE

이미지 확대보기Transformer [Remastered]

닫기

비밀번호 인증

글 작성시 설정한 비밀번호를 입력해 주세요.

닫기

장바구니 담기

상품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
바로 확인하시겠습니까?

찜 리스트 담기

상품이 찜 리스트에 담겼습니다.
바로 확인하시겠습니까?

WISHLIST Q&A

COMMUNITY

MYPAGE

CS CENTER

02-3142-2735
평일 : 11:00~20:00 / 토요일 : 11:00~17:30
매주 일요일, 명절 휴무(국가 공휴일 정상영업)

BANK

국민은행 03290104135874
예금주 조남걸

상단으로 이동